Naver/정보

네이버 블로그 키워드 분석 방법 Chapter. 1 소크라테스 [키워드 선택 방법]

마케팅별거임 2023. 2. 15. 23:07
반응형

안녕 친구들
마케팅별거아님 블로그의 마케팅별거임이 작성하는 마케팅 별 이야기 할 시간이야
이번 시간에는 네이버 키워드에 대해서 알아볼까 해


네이버 블로그 VS 티스토리
둘 중 어떤게 나을까?!
마별도 고민을 많이 했단다
'익숙하고 잘 할 수 있는것' VS '잘모르고 도전해야하는것'
이런 느낌으로 다가왔어
개인적인 입장에서은 수익을 위해 하는거라면 네이버 블로그라고 생각하고
흥미로 생각하면 티스토리로 생각이 좁혀지더라
친구들은 어떤것을 선택할래?
(개취존중)

그래서 네이버 블로그이야기를 티스토리에 올려볼게
가보자잇!
췝터원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 네 자신을 알라
국룰이지?
이제 막 네이버 블로그를 시작하는 친구들이라면 일상적인 글로 시작을 할거야
그러다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서 내가 쓴글은 왜 네이버에 검색해도 나오지가 않는지 궁금해질거고
그 다음은 뭐겠어?


이렇게 검색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블로그 노출을 하는지 알아보게될거야
노출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는 여러 글을 읽다가 보면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거야
키워드 + 제목 설정 + 사진 갯수 + 글의 형태 + 구성 +글자수 등등 많아
여기서 마별의 생각!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고 생각해
블로그 노출에 대해서 고민하고 오랜 경험을 담은 노하우들 틀린말이 아예 없진 않지만 많지도 않아
그만큼 오랫동안 유지+성장 시킨 결과가 말해주니까
반은 맞다라고 말하는거야
그렇다면 반은 왜 틀렸을까?

‘이렇게 하면 노출 될거야‘라고 말하는 블로그와 내 블로그의 작성된 게시글의 양과 전문성
즉, 블로그 지수(쉽게 게임으로 비교하면 랭크 티어나 순위 같은 개념이지) 차이가 존재!!
내 블로그로 상위 노출을 시키려면 블로그 지수 + 컨텐츠의 양과 질이 필요한데 블로그 지수가 안되니까…ㅠㅠ



(여기서부터 마린이들은 이해하기 힘들수 있어 넘어가도 돼!)
(블로그 지수는 이 블로그가 어떤 컨텐츠를 주로 다루는지에 대한 전문성 + db의 양 + 유입되는 키워드에 대한 결과 + 유입된 게시글에 방문자가 체류한 시간 + 재방문 등등 포함한 값이라 생각하면 돼= 몰라도 크게 지장없음)
네이버 공식 블로그팀 말에 의하면 블로그 노출은
D.I.A + C rank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노출된다 공지에 말하고 있어
여기서 DIA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문서 정보성 분석)
C rank는 블로그 지수(출처의 신뢰도) https://m.blog.naver.com/naver_search/222147478268
(마케팅팀 공식 블로그 알고리즘 적용 내용)


결국 내 블로그의 지수(게임으로 티어나 순위 같은거)가 어느 위치인지 알아야 한다는거지
현대자동차, 삼성핸드폰, lg가전 키워드로 상위 노출이 되었다면 어떻겠어?!
당연히 좋고
그 다음은?
방문자 많이 들어올테고
그 다음은?
광고도 들어오고 협찬도 들어오고 난리나고 뭐 그렇지

이런 질문을 하는 이유는 저 키워드로 노출이 가능한지 먼저 따져보라는 거야
현실적으로 가능한것을 하자!
그러면 ‘현대자동차’가 안된다면 ‘안양 현대자동차’ 이것도 안되면 ‘안양 현대자동차 위치’ 이런식으로 내 블로그가 어느 정도 노출이 가능한지 따져보는게 우선!

1만 조회수를 위한 선택


1000개의 게시물 작성하여 1개 게시물로 1만 조회수
Vs
100개의 게시물 작성하여 1개 게시물당 100조회수

친구들은 어떤게 더 현실성과 가능성이 있어보이니?
답은 정해져 있어
넌 대답해

게시물 작성 시간으로 보나 블로그의 성장으로 보나
후자야
그러니 내 상황에 맞는 키워드를 잘 설정해보도록
그럼 난 간다
잘들있어 친구들

반응형